해양경찰 조직
  • 해양경찰청장 - 김홍희 치안총감
  • 중부지방해양경찰청장 - 김병로 치안정감
  • 소속기관(27개소) - 지방청(5) / 경찰서(19) / 교육원(1) / 중앙해양특수구조단(1) / 정비창(1)
  • 정원 - 13,661명 (경찰관 10,937명, 일반직 1,173명, 의무경찰 1,551명)
중부지방해양경찰청 특색
  • 국토면적의 37.4%를 차지하는 관할해역
  • 수도권·충청권 3천만 국민들의 안전한 해양활동을 보장
  •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배타적경제수역(EEZ)의 해상치안을 맡고 있는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습니다.
  • 인천해양경찰서, 평택해양경찰서, 태안해양경찰서, 보령해양경찰서, 서해5도특별경비단
  • 경인연안VTS, 태안연안VTS, 대산항VTS, 평택항VTS, 인천항VTS, 경인항VTS
주요 임무

○ 해양주권 수호

○ 해양에서의 수색․구조․연안안전관리

○ 선박교통관제 등 해상질서유지

○ 해양관련 범죄 예방․진압․수사

해양오염 예방․방제

 

연 혁

○ 1953. 12. 23 내무부 소속『해양경찰대』로 창설

○ 1991. 7. 23 경찰청 소속『해양경찰청』으로 개편

○ 1996. 8. 8 해양수산부 소속 외청으로 승격

○ 2014. 11. 19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 조직 개편

○ 2017. 7. 26 해양수산부 소속 외청으로 변경

 

소관 법률 (총 12개)

○ 단독 소관(6개)

  • 해양경찰법
  • 수상에서의 수색ㆍ구조 등에 관한 법률
  • 수상레저안전법
  • 해양경비법
  •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
  •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법률

○ 공동 소관(6개)

  • 경찰공무원법
  • 경범죄처벌법
  • 경찰공무원 보건안전 및 복지기본법(경찰청 공동)
  • 밀항단속법(법무부 공동)
  • 자동차 등 특정동산 저당법(국토부, 법무부, 해수부 공동)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행안부, 소방청 공동)

 

2021년 예산 편성 방향
: 현장에 강한, 신뢰받는 해양경찰 로 거듭나기 위해
  현장에 필요한 예산국민안전 확보를 위한 구조안전 인프라 고도화에 중점

-세입 69억원, 세출 1조 5,407억원

 

 현장 중심의 구조・안전 체계 구축으로 국민안전 확보

  • 해안가 동굴・암벽 등 고위험상황 대응용 구조대 안전장비 보강
  • 신형 연안구조정(13척) 도입연안해역 안전관리 강화
  • 노후 헬기를 야간 임무수행이 가능한 최신 헬기(2대)로 대체
  • 첨단 무인헬기(7대) 도입  → 스마트한 구조・안전 체계구축
  • 동해권(강원·경북)VTS 신설 → 전국 연안해역 선박교통안전망 완성
  • 인권 친화적 유치장(5개소) 환경 개선 → 해양 전문수사체계 구축

 

 빈틈없는 해양영토・주권수호 및 깨끗한 해양환경 보전

  • 동해 북방해역 경비 및 안전관리 강화를 통해 해양영토 관할권 강화
  • 서해 어족자원보호를 위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대형함정(3000톤 2척) 건조
  • 현장 중심 장비 가동율 향상을 위해 함정 항공기 정비비 현실화
  • 노후 함정 안전도 검사비 증액, 합리적 대체기준 마련
  • 대형 해양오염사고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화학사고 대응자재 확충
  • 노후 방제정을 친환경 LNG 방제정(3척)으로 대체건조 추진

 

 국민과 함께 민간구조협력 체계 강화 및 스마트 R&D개발

  • ‘민간해양구조대원’ 의 교육훈련을 강화
  • 연안해역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연안안전지킴’이 운영 → 상시 민간협력 체계 강화
  • 다변화되는 해상 여건에 대비 공공복합 통신위성, 군집수중수색로봇, IoT기반 함정정비플랫폼 등 미래에 활용될 첨단 기술(R&D) 개발

'해양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해사 협약 (1)  (0) 2021.08.07

1. SOLAS

 

SOLAS는 '해상인명안전협약'으로 타이타닉호 사고에 대한 대책으로 제정된 국제협약입니다.

타이타닉호에서 많은 수의 사망자가 발생된 원인은 승선인원 만큼의 구명정을 탑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고 이후 선박 구명설비, 선박 구조, 선박 설비 기준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통일된 규칙을 설정 한 것이 SOLAS 협약입니다. 화재설비, 구난설비, 통신설비, 조난설비, GMDSS 설비, 복원성유지에 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는 해상에서의 인명안전 증진이 목적이며, SOLAS를 수용한 국내법으로는 '선박안전법'이 있습니다.

 

2. MARPOL

 

MARPOL이란 '선박으로부터 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입니다.

MARPOL을 수용한 국내협약으로는 '해양환경관리법'이 있습니다.

1967년 대형 유조선인 토리 캐년호의 기름오염사건으로 제정되었고,

기름, 산적 및 포장 유해액체물질, 하수, 폐기물, 대기오염을 포함한 6개의 부속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속서마다 정의와 배출기준, 증서, 자재 및 약제의 비치기준, 방제선, 비상계획서 등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3. COLREG

 

COLREG는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입니다. 이를 수용한 국내법은 '해사안전법'이 있습니다.

이 협약은 해상에서 일어나는 선박 항행상의 위험을 방지하여 해상교통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세부내용으로는 안전한 속력과 충돌을 판단하는 방법, 선박 간의 피항선, 유지선 규정, 회피방법에 대해 명시하고 있으며, 선박 상태에 따른 등화와 형상물, 시야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의 음향신호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4. STCW

 

STCW란 선원의 훈련, 자격증명 및 당직근무의 기준에 관한 국제협약'을 말합니다. 

1967년 대형 유조선 토리 캐년호 사건이 계기가 되어, 선원의 자격에 대한 국제적인 통일 기준의 필요성이 생겨나게 되었고, IMO가 주축으로 STCW를 제정했습니다.

STCW를 수용한 국내협약을 살펴보면, 선원의 훈련관련은 '선원법'에 선원의 자격관련은 '선박직원법'에 수용되어 시행하고 있습니다. 

세부내용으로는 항해 중 선장의 의무, 당직의 배치, 견시 요령, 당직 중 주의사항, 교대 시 주의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5. SAR

 

SAR협약은 '해양수색 및 구조에 관한 협약'입니다. 

SAR을 수용한 국내법은 '수상에서의 수색 구조등에 관한 법률'이 있습니다.

세부내용으로는 선박조난 시 구조를 위해 설치되는 구조본부에 관한 내용, 항공기에서 투하하는 구호물품 포장의 색, 수색패턴, GMDSS 장비, 선위통보제도 등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6. IAMSAR

 

IAMSAR은 '국제항공 및 해상수색구조편람' 입니다.

해상에서 발생하는 조난사고에 대해 수색구조본부의 역할, 조난신호, 수색방법, OSC임무 등이 명시되어 있씁니다.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SOLAS에 따라 모든 운항선박과 항공기는 IAMSAR 제3권을 의무적으로 비치해야 합니다.

 

 

▶주소 : 부산 수영구 광안해변로 235

▶영업시간 : 매일 11:30-22:00

▶민주 PICK : 마르게리따 또띠아 (11900), 죠스바 칵테일(8000)

▶이 집 매력 포인트 : 뷰....♡

▶ADVICE : 꼭 창가쪽 자리차지하세요!

 

 

-마르게리따 또띠아 (11900)
-보라카이(레몬) 8.0
-죠스바(포도 + 딸기) 8.0
-핫비치(체리) 8.0

 

칵테일이 아닌 뷰에 취한다

 

써니들이 부산에 놀러와서, 광안리에 숙소를 잡고,

여기가 맛집이라며 당당히 데려갔던 매드독스!

 

시카고 피자가 유명한데,

우리는 사실 꽃게탕으로 이미 배를 한가득 채우고 와서

부담 없이 얇은 피자를 시켰는데,

 

다들 배부르다 해놓고, 

막상 먹으니 잘 들어가데...?ㅎㅎㅎㅎㅎㅎㅎ

 

창가자리에 꼬오오오옥 앉고 싶어서

직원분께 앉아서 기다릴테니까 

창가자리 생기면 우리 달라고 부탁드렸다!

 

감사하게도 금방 자리가 났다.

야호! 신나~~~~~광안리 다 우리꺼~~~~~~~~~

매드독스로 만족스러웠던 광안리 여행!

 

저녁뷰는 더더더 멋지다던데 궁금하다!!!!!!!!

나중에 남자친구랑 밤에 가봐야지~~~~'찡긋'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광역시 부산진역 찐맛집-고관함박  (0) 2021.08.05
부산광역시 영도 찐맛집 - 목포손맛식당  (0) 2021.08.04
호가든로제  (0) 2021.08.03

+ Recent posts